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Exception
- jpa
- Android
- db
- Spring Boot
- 알고리즘
- Thymeleaf
- java
- QueryDSL
- 스프링 핵심 원리
- transaction
- SpringBoot
- 백준
- 자바
- Servlet
- Greedy
- JPQL
- 김영한
- 그리디
- 스프링 핵심 기능
- 인프런
- springdatajpa
- pointcut
- AOP
- 스프링
- Proxy
- JDBC
- http
- kotlin
- spring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자동커밋 (1)
개발자되기 프로젝트
트랜잭션 - DB 예제3 - 트랜잭션 실습
1. 기본 데이터 입력 먼저 H2 데이터베이스 웹 콘솔 창을 2개 열어두자. 주의! H2 데이터베이스 웹 콘솔 창을 2개 열때 기존 URL을 복사하면 안된다. 꼭 http://localhost:8082 를 직접 입력해서 완전히 새로운 세션에서 연결하도록 하자. URL을 복사하면 같은 세션( jsessionId )에서 실행되어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기본 데이터 데이터 초기화 SQL //데이터 초기화 set autocommit true; delete from member; insert into member(member_id, money) values ('oldId',10000); 2. 신규 데이터 추가 - commit 전 세션1에서 신규 데이터를 추가해보자. 아직 커밋은 하지 않을 것이다. ..
인프런/[인프런] 스프링 DB 1편 -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
2022. 6. 1. 17:3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