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4/06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개발자되기 프로젝트

H2 In-Memory DB 본문

JPA

H2 In-Memory DB

Seung__ 2021. 5. 22. 20:29

1. H2 DB 란?


DB는 JAVA기반의 경량화된 관계형 DB

file 로 저장하여 실제 DB처럼 유지할 수 있고, 

memory DB로 사용하여 실제 인스턴스가 동작하는 시점에만 유지도 가능

프로젝트 초기 test DB로 사용

유지보수 기간에는 JUnit test용 H2  DB자주 사용

 

h2 database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존성이 추가되어야 한다.

runtimeOnly 'com.h2database:h2'

 

2. H2 database 등록하기


서버를 띄워봅시당.

 

프로젝트를 생성하면 resource에 application.properties가 있을 것이다.

최근에는 application.yml을 사용하는 추세니 application.propertils를 삭제하고 application.yml 만들어주자.

yml을 사용하는 이유?? application.priperties보다 계측적인 구조를 드러낼 수 있음.

resource에 aplication.properties 삭제

H2 DB를 in-memory DB로 등록하는 방법!

spring:
  h2:
    console:
      enabled: true //기본은 false로 되어있음
  jpa:
    show-sql: true
    properties:
      hibernate:
        format_sql: true

 

 

작성한 후 application을 실행하면 h2 db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잇다.

 

그리고 http://localhost:8080/h2-console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.

 url에 콘솔에서 확인한 url을 넣으면 db접속이 완료된다.

 

H2 database 접속 화면

 

사용해보자! 창에 show databases;를 입력 후 run해보자.

show databases; 결과

근데 intelliJ사용하면 이렇게 web으로 접속 안해도됨 ㅋㅋㅋㅋ 엌ㅋㅋ

 

3.intelliJ에서 H2 database 접속하는 방법


 

H2 클릭.

URL에 web에서 접속했을 때 넣은 url(콘솔에서 확인 가능)을 입력하고 test connection을 해보자.

그리고  connection type은 in-memory로 지정.

 

ok를 눌러 생성후 아까 web에서 했던 것 처럼 show databases;를 입력하고 run!

 

SCHEMA를 확인할 수 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당.

'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pository 제공 기능 2  (0) 2021.05.23
Repository에서 제공하는 기능 예시  (0) 2021.05.23
data.sql작성 및 log조회 방법  (0) 2021.05.23
JPA 설정 및 예시  (0) 2021.05.23
JPA 소개  (0) 2021.05.22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