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스프링 핵심 기능
- java
- 백준
- SpringBoot
- 자바
- jpa
- Servlet
- Exception
- JDBC
- Proxy
- Android
- 스프링 핵심 원리
- 김영한
- Thymeleaf
- http
- spring
- JPQL
- db
- QueryDSL
- 인프런
- AOP
- springdatajpa
- pointcut
- 스프링
- Greedy
- Spring Boot
- 알고리즘
- transaction
- kotlin
- 그리디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자되기 프로젝트
DDL-AUTO 변경 본문
1. ddl-auto
- 이제는 운영 서버에 배포된 것과 마찬가지이다.
- 기존 DDL-AUTO는 CREATE로 설정했다.
- 왜냐 Application을 실행하면 싹 지우고 test를 하기 위해서 create를 사용.
- 하지만 운영서버는 application이 다시 실행된다 해도 기존 data가 날라가면 안된다...
- 그래서 validate or none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.
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, DDL 주의사항
1.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DDL???(Data Definition Language) -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이며, 데이터의 전체의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 DDL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자동 생성
bsh-developer.tistory.com
jpa:
hibernate:
ddl-auto: validate
properties:
hibernate:
format_sql: true
database-platform: org.hibernate.dialect.MySQL5InnoDBDialect
2. GitHub
GitHub - bsh6463/blog
Contribute to bsh6463/blo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'Project > 블로그 게시판 만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Application 배포, Heroku (0) | 2021.10.22 |
---|---|
블로그 만들기 결과 (0) | 2021.10.22 |
id 생성전략 변경 (0) | 2021.10.22 |
Exception Resolver, 예외 페이지 (0) | 2021.10.21 |
Paging처리 (0) | 2021.10.21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