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kotlin
- 백준
- springdatajpa
- 알고리즘
- Spring Boot
- Servlet
- db
- spring
- http
- 김영한
- transaction
- AOP
- SpringBoot
- Thymeleaf
- jpa
- 스프링 핵심 기능
- JDBC
- 스프링 핵심 원리
- Proxy
- 스프링
- Exception
- 자바
- JPQL
- 그리디
- pointcut
- 인프런
- Android
- QueryDSL
- Greedy
- java
- Today
- Total
개발자되기 프로젝트
회원 서비스 개발 & Test 본문
실제 서비스와 과련된 로직을 개발해보자.
1. MemberService class 생성
public class MemberService {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/**
* 회원 가입
*/
public Long join(Member member){
//같은 이름이 있는 중복 회원 x
validateDuplicateMember(member);
memberRepository.save(member);
return member.getId();
}
private void validateDuplicateMember(Member member) {
//컨, 알트, m =method extraction.
//Optional<Member> result = memberRepository.findByName(member.getName());
//optional로 한 번 감싸면 아래와 같이 처ㅣㄹ해 줄 수 있음
//optional 없으면 if로 조건 걸어야함.
memberRepository.findByName(member.getName())
.ifPresent(m -> {
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});
}
/**
* 전체 회원 조회
*/
public List<Member> findMembers(){
return memberRepository.findAll();
}
public Optional<Member> findOne(Long memberId){
return memberRepository.findById(memberId);
}
}
2. Optional 사용
return시 null이 return될 수 있을 때 Optional을 사용하면 이점이 있다.
만약 정책이 중복된 이름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해보자. 게임에서 닉네임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상황이다.
입력된 Member를 가지고 repository에서 findByName을 실행한다.
이 때 return 값이 검색 결과가 있을 수도, 있을 수도 있다.
Optional<Member> findByName(String name);
그래서 findByName의 return 타입을 Optional<Member>로 설정했다.
서비스 로직에서 Optional을 활용하여 처리를 할 수 있다.
findByName으로 return된 값이 존재하면? 이름이 중복된 상활ㅇ으로 IllegalStateException을 발생 시킬 수 있다.
memberRepository.findByName(member.getName())
.ifPresent(m -> {
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});
만약 Optional이 아니라면 if문을 사용하여 null일 때 아닐 때 구분하여 작성해야한다..
*팁! 코드를 작성하다가 특정 코드들을 묶어서 메서드로 빼고싶다면..?
"Ctrl + Alt + m" --> Extracion method 실행됨.
3. Test
* Test 코드 작성 시 참고사항
- given, when, then 문법을 활용하자
- 해당 문법을 따라 작성하면 test를 누가 보더라도 명확하게 파악이 가능!
- 예외처리 flow도 굉장히 중요함!
1)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이 진행되는 경우
@Test //Test는 한글로 바꿔도됨 ㅋㅋㅋ
void 회원가입() {
//Test는 아래와 같은 문법으로 진행하자.
//given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"hello");
//when
Long saveId = memberService.join(member);
//then
Member findMember = memberService.findOne(saveId).get();
assertThat(member.getId()).isEqualTo(findMember.getId());
}
2) 회원가입 시 중복 회원이 발생하는 경우
//Test는 정상 flow도 좋지만 예외 flow가 갱장히 중요하다!
@Test
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(){
//given
Member member1 = new Member();
member1.setName("spring");
Member member2 = new Member();
member2.setName("spring");
//when
memberService.join(member1);
//예외 터진걸 잡으려면 try - cath쓰면됨
//member2 저장시 IllegalStateException 터져야함.
try{
memberService.join(member2);
//만약 여기서 catch로 안넘어가면 fail상황임
fail();
}catch (IllegalStateException e){
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}
//then
}
그런데.. 요거때문에 try,catch넣기 좀 그래..
2-1) assertThrows(expectedType, logic)
public static <T extends Throwable> T assertThrows(Class<T> expectedType, Executable executable) {
return AssertThrows.assertThrows(expectedType, executable);
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따.
해당 logic을 실행 했을 때, 예상되는 Type은 IllegalStateException.class이다.
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->memberService.join(member2));
@Test
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(){
//given
Member member1 = new Member();
member1.setName("spring");
Member member2 = new Member();
member2.setName("spring");
//when
memberService.join(member1);
//then
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->memberService.join(member2));
}
message를 받아처 확인해 볼 수 도 있다.
//Test는 정상 flow도 좋지만 예외 flow가 갱장히 중요하다!
@Test
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(){
//given
Member member1 = new Member();
member1.setName("spring");
Member member2 = new Member();
member2.setName("spring");
//when
memberService.join(member1);
//then
IllegalStateException e = 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 -> memberService.join(member2));
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}
3) 한꺼번에 돌려보자.
마찬가지로 각 Test가 끝난 후 DB값을 clear해줘야 한다. 필수!
MemoryMemberRepository memory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@AfterEach //각 method실행 끝날대마다 실행
public void afterEach(){
memoryMemberRepository.clearStore();
}
4)현재 Test는 MemberService를 Test하는 코드이다.
MemberService class에서 MemoryMemberRepository의 instance를 생성하였고,
Test에서도 Repository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instance를 또 생성했다.
둘은 다른 instacne이다.
현재 코드는 MemoryMemberRepository의 field를 static으로 해두어서 문제는 없다.
왜냐 static은 instance가 아라 class level에 붙기 때문.
만약 satic을 떼버리면 문제가 발생한다. instance마다 서로 다른 DB가 생기는 꼴이된다.
그렇다고 불필요하게 MemoryMemberRepository 객체를 두 개 사용할 필요는 없다.
따라서 같은 intance를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해야 한다.
3. Dependancy Injection(DI)
MemberService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MemberRepository를 해당 클래스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,
constructor를 통해 외부에서 주입을 받자.
@Service
public class MemberService {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//repository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, 외부에서 넣어주도록 변경.
//MemberService입장에서 외부에서 Repository를 주입받음 = Dependancy Injection(DI)
public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) {
this.memberRepository = memberRepository;
}
아마 memberRepository에 에러가 발생할 텐데, 이는 MemberRepository가 @Bean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.
MemberRepository에 @Component annotation을 붙여주면
Spring Bean으로 등록되어 Spring에서 관리한다.
@Component
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{
그리고 각 Test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,
실행 전에 MemoryMemberRepository생성하고 MemberService에 주입하도록 하자.
class MemberServiceTest {
MemberService memberService;
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@BeforeEach
public void beforeEach(){
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memberService = new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);
}
MemberService 입장에서 보면 외부로부터 memberRepository를 주입 받는다.
이를 DI(Dependancy Injection), 의존성 주입이라고 한다.
test 실행 결과는 모두 통과!
4. GitHub : 210722, repository, test #2
'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Bean과 의존관계(JAVA로 직접 등록) (0) | 2021.07.22 |
---|---|
Spring Bean과 의존관계(@Component 스캔) (0) | 2021.07.22 |
회원 도메인, Repository 만들기 (0) | 2021.07.22 |
비즈니스 요구 사항 정리 (0) | 2021.07.22 |
스프링 웹 개발 기초 (0) | 2021.07.21 |